마이산 청소년 야영장

야영장안내

마이산

마이산의 옛이야기

전주에서 동쪽으로 약 32km, 대전에서 약 89km 진안에서 남서쪽으로 약 3km 정도 떨어졌으며, 백두대간에서 분기(장수 영취산)한 금남. 호남정맥의 주능선이며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으로 산 전체가 역암(수성암. 퇴적암)으로 이루어졌다.

마이산의 지명은 신라 시대에는 서쪽(경주 중심)에서 가장 이로운 산이라 하여 서다산(西多山)이라 하였으며 해마다 이곳에서 산신제를 올린 기록이 있다. 서다산은 섯다산을 음차하여 한문으로 표기한 것인데 하늘을 향해 섯다는 산이라 한다.

고려 때에는 하늘로 용솟음치는 힘찬 기상을 상징한다 하여 용출산(聳出山)이라 불렀으며, 고려 말 이성계장군이 속금산(束金山)이라 개명하였는데 이는 마이산이 기(金-쇠의 기운)가 너무 강하여 나무(木)의 기운을 눌러 이(李)씨가 왕이 될 수 없다 하여 쇠(金)의 기운이 강한 마이산의 정기를 묶는다는 의미의 속금산(束金山)으로 개명했다.

이후 태종 13년 태종이 몸소 나와 진안 성묘산에서 제사를 지낸 후 마이산을 보고는 이미 이씨가 왕이 되었는데 산의 기운을 묶어둘 필요가 없다 하여 산이 말의 귀를 닮았으므로 마이산(馬耳山)이라 이름한데서 유래 되었다. 말은 하늘로 높이 솟아 하늘의 소리를 들어 지상에 전한다는 천마(天馬)설도 있다.

또한, 마이산은 계절별로 그 이름을 달리 부르고 있는데 봄에는 우뚝 솟은 두 봉우리가 마치 바다에 떠 있는 배의 돛대와 같다 하여 돛대봉, 여름에는 하늘을 향해 높이 솟아 있는 형상이 푸른 숲과 바위가 어우러져 용의 뿔과 같이 보인다 하여 용각봉(龍角峰), 가을에는 단풍과 바위의 형상이 말귀와 같아 마이봉이라 부르며 겨울에는 하얀 눈 위에 솟은 봉우리가 먹물을 찍은 붓과 같다 하여 문필봉(文筆峰)이라고 부른다.